비자 폭탄 부메랑?…"월가 은행들, 인도서 채용 늘릴지도" >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비자 폭탄 부메랑?…"월가 은행들, 인도서 채용 늘릴지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9-23 11:55

본문

블룸버그 "분석가들, 인도 IT 허브서 직원 더 확대할 걸로 예상"

이미지 확대미국과 인도 국기를 배경으로 놓여진 미국의 H-1B 비자 양식
미국과 인도 국기를 배경으로 놓여진 미국의 H-1B 비자 양식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부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문직 비자에 폭탄급 수수료를 물리기로 한 결정이 미 월가의 대형 은행들이 인도에서 인력 채용을 확대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2일 보도했다.

이들 은행이 미국 본사 직원을 늘리는 대신 인도에서 운영되는 사업 지원센터에서 채용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JP모건 체이스와 시티그룹, 골드만삭스 같은 미 대형 은행들은 인도의 '글로벌 역량센터'(GCC)의 최대 고용주들이다.

이 센터는 주식·채권 등의 거래 지원, 위험 노출도 감시·적법성 확인 같은 리스크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등 기술적 지원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 센터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계량분석가, 회계 전문가 등을 고용하고, 월가 은행들이 미국 고용 시장에서 구하기 힘든 숙련 인력을 확보해 저비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민을 억제해 미국의 일자리를 보호한다는 전략이지만 전문직 비자 수수료 인상으로 은행들이 뭄바이와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등 인도의 IT 허브에서 사업을 더 확장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가들은 지적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20년 넘게 미국 은행들과 일해온 인도 채용업체 안라거 인포테크의 설립자 우메시 찻제드는 "해외 업무 이전에 새로운 규제가 내려지지 않는 한 외국(미국) 은행들은 인도의 역량센터에 더 의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회계법인 언스트앤드영에 따르면 인도의 GCC는 2019∼2024년 사이 연 9.8% 성장하며 640억달러(약 89조원) 규모 시장으로 커졌다. 현재 GCC 수는 1천700개인데 2030년이면 최대 2천500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 은행도 GCC의 주요 고용주로, 시티그룹은 인도에 약 3만천명을, 뱅크오브아메리카는 2만7천여명을, JP모건은 5만5천명을 직원으로 두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9일 정보통신(IT) 및 컨설팅, 회계, 의료 분야 전문직 비자인 H-1B의 신규 발급 수수료를 종전의 1천달러(약 139만원)에서 10만달러(약 1억3천930만원)로 인상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H-1B 비자는 주로 테크 부문에서 해외 숙련 인력을 확보하는 통로로 쓰이는데 금융사와 컨설팅 업체 역시 인력 채용에 이를 활용해왔다.

2023년 9월 끝난 미국 회계연도 기준으로 H-1B 비자 수혜자의 72.3%가 인도 출신이었다.

sisyphe@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