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리랑카 "'내전범죄' 前장성 등 4명에 대한 英제재 도움 안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3-27 15:20본문
외무부 "화해과정 꼬이게 만들뿐"…영국대사 초치해 입장 전달

[촬영 안 철 수]
(서울=연합뉴스) 유창엽 기자 = 스리랑카 정부가 자국 내전에서 인권침해 등의 범죄를 저지른 전직 군 장성 3명과 전 반군사령관 등 4명에 대해 영국 정부가 제재를 가한 데 대해 현재 진행 중인 국가적 화해 과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일축하고 나섰다.
27일 AFP통신 등에 따르면 스리랑카 외무부는 전날 성명에서 영국 정부가 지난 24일 샤벤드라 실바 전 스리랑카 군참모총장 등 전직 장성 3명과 반군 타밀엘람해방호랑이(LTTE) 전 사령관 비나야가무르티 무랄리타란을 제재했다고 밝혔다.
외무부는 이어 "자산 동결과 여행 금지를 포함하는 이번 제재는 일방적인 것으로 스리랑카에서 현재 진행 중인 국가적 화해 과정에 도움이 되지 않고 되레 일을 꼬이게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스리랑카 정부는 현재 책임과 화해에 관한 국내 시스템을 강화하는 과정에 있다면서 과거의 모든 인권침해 행위 등은 스리랑카 국내 시스템을 통해 처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들 4명은 "내전 과정에서 저지른 심각한 인권침해 행위에 대한 책임이 있다"면서 이들은 초법적 살인과 고문, 성폭력 등에 연루돼 있다"고 부연했다.
비지타 헤라트 스리랑카 외무장관은 전날 자국 주재 영국 대사 앤드루 패트릭을 외무부 청사로 불러 스리랑카 정부의 입장을 전달했다.
스리랑카에선 1983년 7월부터 2009년 8월까지 26년여간 정부군과 LTTE간 내전이 벌어져 최소한 10만명이 숨지고 2만여명이 실종됐다.
내전은 불교도인 다수 싱할라족의 차별에 소수이자 힌두교도인 타밀족이 맞서면서 시작돼 정부군 승리로 종결됐다. 이 과정에서 많은 인권침해 등 범죄가 저질러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유엔 등 국제사회는 전범기소를 위한 독립적 조사 메커니즘을 구축할 것을 스리랑카 정부에 요구했지만 수용되지 않았다. 인권단체들은 전범 처리와 관련해 별 진전이 없다고 주장한다.
다만 지난해 9월 집권한 좌파 성향 아누라 디사나야케 스리랑카 대통령은 약 3년 전 발생한 국가부도 여파로 인한 경제난 회복과 부패척결, 과거사 바로잡기 등을 통한 국민통합에 매진하고 있다.
yct9423@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