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정, 민주진영 반발 속 총선 준비 박차…中특사와 논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5-03-13 16:52본문
중러, 군정 추진 선거 적극 지원…서방국 등은 '속임수'라며 비판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미얀마 군사정권이 민주 진영 반발에도 중국과 러시아의 지원을 받으며 총선 준비에 나서고 있다.
13일 이라와디와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지난 11일 수도 네피도에서 덩 시준 중국 특사와 만나 총선 계획을 논의했다고 군정 정보부가 전날 밝혔다.
현지에서는 중국이 미얀마에 전자 투표 시스템을 제공하는 등 선거 지원 방안을 협의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중국 특사와의 만남은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러시아와 벨라루스 방문 직후 이뤄졌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벨라루스 방문 도중 "올해 12월이나 내년 1월 총선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총선 시점을 처음 언급했다.
2021년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군정이 추진하는 선거에 대해 중국은 러시아와 더불어 지원 의사를 밝혀왔다.
중국은 미얀마 희토류 광산이나 송유관 건설에 대규모로 투자해 경제적 이해관계가 있고, 전략적으로도 미얀마 안정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중국은 미얀마 소수민족 무장단체를 압박하며 휴전회담을 중재했고, 총선도 지원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벨라루스 방문을 마친 뒤 야권이 총선에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당제 민주주의를 원한다면 방해해서는 안 되며, 필요한 것은 협력"이라며 "반군은 희망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것과 해야 할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과 미얀마 민주 진영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NUG), 반군부 단체 등은 군정 주도 선거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속임수이며 '반쪽' 선거가 될 수밖에 없다고 비판한다.
2023년 군정은 군부에 유리하도록 선거법을 개정하면서 모든 정당에 재등록을 요구했고, 당시 이에 응하지 않은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 주도의 민주주의민족동맹(NLD) 등은 해산됐다.
2021년 쿠데타 당시 미얀마에는 90개 정당이 있었지만, 현재 정당은 40개로 줄었다.
반군 공세에 밀려 군정이 통제권을 잃은 지역도 다수다.
군정은 지난해 유권자 명부 작성을 위한 인구조사를 실시했지만, 전체 행정구역의 절반도 완료하지 못했다.
double@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