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관세전쟁 속 영국·인도 무역협상 재개 >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트럼프발 관세전쟁 속 영국·인도 무역협상 재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8회 작성일 25-02-25 17:56

본문

이미지 확대조너선 레이놀즈 영국 상무장관과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로이터=연합뉴스]

조너선 레이놀즈 영국 상무장관과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로이터=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 관세를 예고한 가운데 영국과 인도가 자유무역 협상을 약 1년 만에 재개했다고 영국 BBC 방송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BBC는 조너선 레이놀즈 영국 상무장관이 이날 인도 뉴델리에서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과 만나 이틀간의 협상에 돌입했다고 전했다.

두 나라는 2022년 이후 12차례 이상 협상을 벌였지만, 현재까지 타결을 보지 못한 상태다.

고얄 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협상 진전과 함께 "균형 있고 야심차며 상호 이익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데 이번 회담의 초점이 맞춰졌다"고 밝혔다.

레이놀즈 장관은 지난해 영국에서 노동당이 집권한 이후 처음 열린 이번 협상의 타결이 정부 최우선 과제라고 했다.

그는 회담을 앞두고 성명을 통해 "성장은 인도와의 무역 협상에서 기본 원칙이 될 것"이라면서 "이 활기찬 시장에서 제공할 기회에 대해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2016년 '인도-영국 테크 서밋'에서 연설하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2016년 '인도-영국 테크 서밋'에서 연설하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영국 정부에 따르면 양국 간 무역 규모는 410억 파운드(약 74조원)로 무역 협정은 양국에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수 있다고 BBC는 짚었다.

영국이 혜택을 볼 분야로는 첨단 제조업과 청정에너지, 무역 서비스 등이 꼽힌다. 또 협정 타결을 통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영국산 자동차, 스카치위스키, 금융 서비스 시장이 열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30 회계연도까지 수출을 1조 달러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운 인도 정부로서도 영국은 중요한 무역 상대국이다.

인도 전문직 및 학생들에게 발급되는 영국 비자 규정 완화 문제와 스카치위스키에 대한 인도의 높은 관세는 협상의 걸림돌로 지목된다. 인도는 비자 발급 기간 단축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khmoon@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