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코스맥스, 인도법인 설립추진…'제3의 도약' 노린다 >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세계 1위 코스맥스, 인도법인 설립추진…'제3의 도약' 노린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8-22 15:38

본문

ODM 기업 매출 세계 1위…전 세계 자체 공장서 한 해 33억개 생산 능력

이경수 회장 "이제 프리미엄 시대…프랑스와 경쟁할 최고급 화장품 내놓을 것"

(서울=연합뉴스) 안용수 기자 = 전 세계에서 K뷰티 붐을 주도한 화장품 제조자개발생산(ODM) 1위인 코스맥스[192820]가 15억 인구를 보유한 인도 시장에 진출한다.

코스맥스는 ODM 전문 기업으로서 올해 초 화장품 종주국인 프랑스에 사무소를 연 데 이어 올해 말까지 인도 뭄바이에 현지 법인 설립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에는 중남미 지역 영업망 확보를 위해 멕시코 사무소를 설치했으며, 베트남 호찌민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등에도 영업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이미지 확대코스맥스 기업 로고
코스맥스 기업 로고

[코스맥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1일 화장품업계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스맥스 창업자인 이경수 회장은 전날 여의도에서 국내외 증권사 연구원(애널리스트)들을 대상으로 한 기업설명회(IR)에서 이런 계획을 공개했다.

코스맥스 고위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인도의 법인 설립이 막바지 단계에 있는 것은 맞는다"며 "앞으로 인도 화장품 시장이 지금보다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 K뷰티 기술력을 통한 현지 선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자료를 통해 인도의 화장품 시장은 지난해 317억3천만달러(약 42조원)로 2022년부터 연평균 4.7%씩 성장해왔다고 강조했다.

현재까지 코스맥스가 세계화를 위해 나라 밖에서 첫발을 디딘 중국과 미국, 인도네시아 등 공장 소재국까지 합쳐 직접 진출한 국가는 10개국에 달한다. 연내 인도에서 무사히 법인 설립을 마치면 중동에도 사무소를 두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발표하는 이경수 코스맥스 회장
발표하는 이경수 코스맥스 회장

(서울=연합뉴스) 이경수 코스맥스 회장이 14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내셔널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2025 큐텐재팬 K뷰티 메가 콘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2025.3.14 [코스맥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이는 해외 진출을 통해 현지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경영 전략에 따른 것이라고 코스맥스는 설명했다.

코스맥스는 지난 2003년 중국 상하이에 진출했다. 2003년 당시 한 해 기업 전체 매출액이 200억원대에 불과했는데, 올해 2분기 상하이 법인 매출만 1천86억원에 이른다.

특히 저렴한 노동력을 이용한 제3국 수출이 아닌 로컬 회사들과 동반 성장을 통한 현지화 전략에 초점을 맞춘 것이 성공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코스맥스는 창립 2년 후인 1994년 연구소를 설립하며 자체 기술력 확보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 중국 진출로 시작한 글로벌화로 '제2의 도약'을 이뤘다고 자체 평가하고 있다.

이경수 회장은 당시 "글로벌화가 살길이며 중국 화장품 회사와 동반 성장해야 한다"며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코스맥스 차이나
코스맥스 차이나

[코스맥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코스맥스는 인도 법인과 다른 신규 영업 사무소가 본격적으로 가동하면 경쟁국이나 기업과 격차를 더 벌릴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전 세계 화장품 ODM 시장은 매출 기준으로 코스맥스가 부동의 1위로 이끌고 있고 그 뒤를 이탈리아 인터코스(2위), K뷰티 기업인 한국콜마(3위)가 추격하는 구도로 돼 있다.

지난 2023년만 해도 코스맥스 매출액은 1조7천775억원으로 세계 화장품 ODM 시장 2위인 이탈리아 인터코스(1조5천700억원)를 2천억원이 넘는 격차로 따돌렸다.

코스맥스는 연간 매출이 지난해 2조1천661억원에서 올해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해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 세계 자체 공장의 연간 33억개 화장품 생산 능력이 뒷받침하고 있다. 여기에 로레알이나 에스티로더와 같은 세계적 화장품 브랜드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는 고급화 전략을 우선순위에 둔 점도 성장 속도를 끌어올린 요인으로 꼽힌다.

K뷰티는 올해 세계 화장품 수출 시장에서 미국을 제치고 2위에 올라서 1위 프랑스와 경쟁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코스맥스는 증권사 연구원들 대상 설명회에서 기업 경영 목표로 ▲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소 보유 ▲ 글로벌 회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 생산 규모의 경쟁력과 글로벌 공급력 확보 ▲ 해외 법인의 현지화 ▲ 맞춤형 화장품 시스템 개발 등을 제시했다.

코스맥스는 앞으로 세계 화장품 시장에서 랑콤 등으로 대표되는 프랑스산 화장품과 견줄만한 최고급 제품을 개발 생산해 경쟁하는 전략으로 승부에 나설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이제는 프리미엄 전략으로 나아가 한국 화장품을 쓰는 것을 자랑스러워해야 한다"며 "최고로 경쟁력이 있는 회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코스맥스 판교 R&D 센터 전경
코스맥스 판교 R&D 센터 전경

[코스맥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aayyss@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