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폭풍] 트럼프, "훌륭한 친구"라면서 인도에 26%…車 부품업 타격 >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아총연 회원국 소식

[美관세폭풍] 트럼프, "훌륭한 친구"라면서 인도에 26%…車 부품업 타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4-03 11:48

본문

"인도 수출 경쟁력 즉각 저하…중국 떠나는 글로벌 자본 유치 계획 타격"

미·印 무역협정 속도 낼듯…"베트남 등보다 관세 낮아 의류·신발은 기회"

이미지 확대인도 뭄바이 컨테이너 터미널
인도 뭄바이 컨테이너 터미널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미국이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통해 인도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6%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인도의 자동차 부품업체 등이 타격을 볼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 통신과 힌두스탄타임스 등이 3일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전격적으로 발표하며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발표에서 인도에 대해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미국을 다녀갔고 그는 나의 훌륭한 친구"라면서도 "인도는 우리에게 52%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었지만, 우리는 오랫동안 거의 아무것도 부과하지 않았다. 이제 공정한 무역을 위해 우리는 그 절반인 26%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백악관은 성명을 통해 "인도는 유례없이 까다로운 비관세 장벽을 두고 있고 이를 철폐하면 미국 수출이 연간 최소 53억 달러(약 7조8천억원)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인도와의 무역에서 연간 약 460억 달러(약 67조4천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인도 도요타 부품 공장
인도 도요타 부품 공장

인도 남서부 카르나타카주 비다디에 있는 도요타 자동차 부품 공장.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자동차 부품업 타격…"중국 탈출 자본 유치에도 악영향"

이번 조치로 인도의 수출업체는 물론 모디 총리의 제조업 육성 정책에도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모디 총리는 중국을 대신해 인도를 새로운 글로벌 생산기지로 만들겠다며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을 펼쳐왔고, 이에 따라 중국에서 탈출하려는 제조업체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해 왔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 컨설팅 회사 드비어(deVere) 그룹의 나이젤 그린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조치는 인도 수출품의 경쟁력을 즉각적으로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떠나는 글로벌 자본을 유치하려는 인도의 계획에도 타격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치로 가장 타격이 큰 분야 중 하나로 블룸버그 통신은 인도의 자동차 부품업계를 꼽았다.

미국은 인도 자동차 부품의 최대 수출 시장이다. 2023∼2024 회계연도(2023년 4월∼2024년 3월) 기준 전체 212억 달러 규모의 업계 수출 중 3분의 1이 미국으로 향한다.

이들은 미국의 보복관세가 15%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보다 높아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미국 자동차 부품업체 보그워너의 글로벌 제품 관리 디렉터인 찬드라세카르 크리슈나무르티는 "이번 관세 조치는 단순히 차량 가격 상승을 초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수요 위축 등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투자은행 엘라라 캐피털의 자동차 부문 애널리스트 제이 케일도 "자동차 부품 업체들은 관세가 올라도 미국 자동차 시장이 성장하면 이를 만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지만, 예상보다 높은 관세에 그나마 남아 있던 긍정적인 전망마저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미국 인도 정상회담
미국 인도 정상회담

2025년 2월 13일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회동하고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인도·미국 무역협정 협상 속도 낼 듯…의류·신발업체는 기회

이처럼 예상보다 높은 관세율이 부과되면서 인도 정부는 미국과의 무역 협정을 조기 체결하기 위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지난 2월 모디 총리는 백악관을 찾아 양국 간 무역 협정 체결과 미국산 무기 구매, 에너지 수입 확대 등을 약속했고, 이후 양국 관료들이 오가며 협상을 벌이고 있다.

미국 정부가 이번 관세 조치 유예 조건에 대해 "미국의 무역 적자와 상호 불균형 문제가 해소될 때까지"라고 한 만큼 양국이 무역 협정을 체결하면 상호관세는 폐지되고 새로운 무역협정에 따라 관세도 매겨질 전망이다.

인도는 미국을 겨냥해 고급 오토바이, 버번위스키 등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를 인하하고, 구글세라 불리던 디지털세도 철폐했다.

또 미국산 보석이나 의약품, 자동차 부품 등에 대한 관세 인하와 테슬라를 위한 전기차 관세 인하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자동차 업체인 타타나 마힌드라 등은 전기차 관세 인하를 2029년까지 유예하고 이후 점진적으로 30%까지 낮추는 방안을 요구했지만, 인도 정부는 이를 거부하고 즉각 대폭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다만 베트남(46%)과 방글라데시(37%), 인도네시아(32%) 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관세율을 적용받는다는 점에서 의류나 신발 산업은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인도 수출업 연맹은 기대했다.

이미지 확대상호관세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상호관세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laecorp@yna.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