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글로벌 열풍, BTS·블랙핑크 이어 신예까지 전 세계 장악 > 자유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 게시판

K-팝 글로벌 열풍, BTS·블랙핑크 이어 신예까지 전 세계 장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9-22 10:58

본문

K-팝 글로벌 열풍, BTS·블랙핑크 이어 신예까지 전 세계 장악


- 케이팝 산업 2025년 상반기 해외 공연·음원 매출 역대 최고…팬덤 문화·경제적 영향 심층 분석

현재위치

이전 기사보기다음 기사보기
블랙핑크 @YG엔터테인먼트블랙핑크 @YG엔터테인먼트

 

(뉴스코리아=서울) 임혜림 기자 = K-팝이 2025년에도 글로벌 음악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BTS, 블랙핑크 등 기존 슈퍼스타를 중심으로, 신인 그룹과 솔로 아티스트까지 해외 팬덤을 빠르게 확장하며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 한국음반산업협회(KOMCA)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K-팝 해외 음원 매출은 약 6억 달러로 집계되어,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유튜브, 스포티파이 등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K-팝 조회수와 재생 수는 전년 대비 35% 증가했다.

뉴욕, 런던, 파리 등 주요 도시에서 개최된 K-팝 월드투어 콘서트는 티켓 판매 시작과 동시에 매진 사례를 기록했다.

특히 블랙핑크 리사의 솔로 월드투어와 BTS 멤버 지민·RM의 솔로 공연은 각각 50만 명 이상의 글로벌 팬을 동원하며, 공연장 주변과 도시 경제에 상당한 파급 효과를 가져왔다.

한류 전문가들은 K-팝이 단순 음악 산업을 넘어 글로벌 문화 소비와 팬덤 경제를 선도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엔카이브 @오브문스튜디오엔카이브 @오브문스튜디오

 

“K-팝 팬덤은 단순 관객이 아니라, 아티스트 굿즈·콜라보 제품 구매, SNS 홍보, 현지 이벤트 참여까지 이어지는 경제적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한류문화연구소 관계자는 밝혔다.

또한 최근 신인 그룹 ‘에피소드’와 ‘루미너스’는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동시에 음반 차트 상위권에 진입하며, K-팝의 세대 교체와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과 협업한 디지털 팬미팅, 메타버스 콘서트 등 다양한 시도도 팬층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Billboard Korea 스페셜 커버모델, 블랭키 @키스톤엔터테인먼트Billboard Korea 스페셜 커버모델, 블랭키 @키스톤엔터테인먼트

 

경제적·문화적 영향

K-팝의 글로벌 확장은 한국 문화산업 수출과 국가 브랜드 이미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025년 상반기 기준 K-팝 관련 상품·콘서트·디지털 콘텐츠 매출은 총 10억 달러 이상으로 추정되며, 한국 관광 산업과 연계된 경제적 효과도 커지고 있다.

특히 팬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SNS 캠페인, 굿즈 구매, 지역 이벤트 등은 현지 경제를 활성화하고, K-팝을 통한 국가 홍보 효과까지 겸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K-팝은 단순 음악이 아닌, 국가 문화력과 경제적 파급력을 동시에 갖춘 ‘글로벌 산업 모델’”이라고 평가한다.

 

중앙아시아 최초의 유료 케이팝시장 진입에 성공한 블랭키 타슈켄트 콘서트 @뉴스코리아 임혜림 기자중앙아시아 최초의 유료 케이팝시장 진입에 성공한 블랭키 타슈켄트 콘서트 @뉴스코리아 임혜림 기자

 

 


글로벌 반응

미국 빌보드 차트, 일본 오리콘 차트, 영국 오피셜 차트 등 주요 해외 음원 차트에서 한국 아티스트들이 꾸준히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트위터, 인스타그램, 틱톡 등 SNS 플랫폼에서는 팬들이 직접 제작한 밈·댄스 챌린지·팬아트가 확산되며, K-팝 팬덤의 자발적 홍보가 글로벌 관심을 증폭시키고 있다.

또한, 메타버스와 NFT 기반 디지털 콘서트, 굿즈 판매 플랫폼과의 협업은 팬덤 참여를 극대화하며, K-팝 산업의 디지털 경제 확장을 보여준다.

 

다채로운 컬러로 국내외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대세 걸그룹으로 자리매김한 키스오브라이프(KIOF) 쇼케이스 무대   @뉴스코리아 허승규 기자다채로운 컬러로 국내외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대세 걸그룹으로 자리매김한 키스오브라이프(KIOF) 쇼케이스 무대 @뉴스코리아 허승규 기자

 


 

데스크 논평

K-팝의 글로벌 열풍은 단순한 음악적 현상을 넘어 문화·경제·디지털 혁신을 아우르는 산업 모델로 자리 잡았다.

기존 슈퍼스타 중심의 한류에서 신인 그룹과 다양한 장르로 확장되는 흐름은, 앞으로 K-팝이 지속 가능한 글로벌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엔터테인먼트 기업과 정부가 글로벌 전략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면, K-팝은 단순 음악을 넘어 세계적인 문화 산업 생태계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