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재외동포청장한테 요구되는 ‘철학’ > 자유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 게시판

[시론] 재외동포청장한테 요구되는 ‘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7-25 07:08

본문

‘글로벌 한민족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2023년 6월 출범한 재외동포청이 어느덧 2년을 지났다. 현판을 건지 오래지 않은 탓인지 아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각에서는 보여주기식 행사와 수사(修辭)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변화는 더디고, 현장과의 간극은 여전하다는 볼멘 소리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면서 재외동포청의 변화에도 관심이 쏠린다. 새로운 청장이 임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향후 새 청장이 임명된다면, 그 인선에 몇 가지 제언을 하고 싶다. 청장 인선이 변화의 출발점이자 분기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재외동포청장은 단순히 내외동포 간 연결자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정치적 배경이나 외연 확장용 인맥만으로는 부족하다. 글로벌 한민족의 품격과 대한민국의 국격을 동포정책에 녹여낼 통찰력과 실무 역량을 두루 갖춘 전략가가 필요하다. 유명무실한 명사(名士) 인사로는 전 세계 180여 개국 700만 동포사회의 복합성과 역동성을 감당할 수 없다. 이 자리는 관례나 정무적 안배가 아니라 재외동포사회의 미래를 설계할 인물로 채워져야 한다.

둘째, 동포정책 현장의 다양성과 민감성 앞에서 청장은 ‘신문고’이자 협치의 실천자여야 한다. 재외국민등록, 복수국적, 병역, 건강보험, 영주귀국, 우편투표 도입 등은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충돌하는 민감한 사안이다. 일방적인 결정보다 공청회, 간담회, 국제 심포지엄 등을 통한 숙의와 조율이 기본이다. 청장은 경청하고 조정에 능한 리더여야 한다. 형식에 집착하는 순간 이 자리는 무의미해진다.

셋째, 재외동포정책은 철저히 미래지향적이어야 한다.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전 세계 디아스포라의 변화 흐름을 정밀하게 읽어내는 전략적 감각이 요구된다. 국가교육과정 연계, 한글학교 운영 고도화, 차세대 리더 양성, 모국-거주국 간 상생 전략, 풀뿌리 공공외교 등 중장기 과제를 이끌 역량이 필요하다. 미국 국무부의 기획력, 이스라엘 모사드·디아스포라부의 인적 네트워크, 중국 통일전선부·화교판공실의 조직력, 일본 공안조사청의 조사분석력은 벤치마킹 대상이 될 수 있다. 다만 우리는 우리 현실에 맞는 ‘융합형 강소 조직’으로 청의 위상과 역량을 실질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넷째, 청장은 포용과 협력의 촉진자여야 한다. 1.5세부터 6·7세, 입양동포, 영주귀국자, 무국적·반한(反韓) 동포까지 아우르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재외공관, 지방자치단체, 대학, 한인회, 문화예술단체, 장학회, 향우회, 한상 등과 유기적으로 협력할 민관산학 조율력이 관건이다.

다섯째, 청장은 헌법과 재외동포기본법이 명시한 국가적 책무를 성실히 수행해야 한다. 동포 권익 보호, 정체성 강화, 상시적 네트워크 구축 등 재외동포정책의 전 분야를 두루 이해하고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 부처 간 업무 조정 능력, 산하 공공기관과의 협업 역량, 예산·인력의 효율적 배분과 관리까지 책임 있게 이끌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청장은 성찰과 겸손, 섬김의 리더십을 갖춰야 한다. 동포정책은 정해진 매뉴얼을 따르는 행정의 기술이 아니라, 지속적인 조정과 진화의 과정이다. 세계시민적 감수성, 열린 사고, 신속 대응력을 두루 갖춘 리더만이 제한된 임기 내에 유의미한 성과를 낼 수 있다. 권위보다 진정성, 속도보다 방향이 중요하다.

새로운 청장은 명성이나 정치적 고려가 아닌, 전략, 품격, 실력을 갖춘 인물로 임명해야 한다. 재외동포청은 단순한 외청이 아니다. 대한민국이 세계로 뻗어갈 전략 거점이자, 글로벌 한국인이 신뢰할 배후기지다. 지금은 새로운 세대를 위한 통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런 철학을 가진 인물을 찾아야 할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