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임명 특임공관장 30여명 전격 교체… “2주 내 귀국하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7-07 09:36본문
윤석열 임명 특임공관장 30여명 전격 교체… “2주 내 귀국하라”
새 외교 노선 예고… ‘비상계엄’ 이후 흔들린 외교신뢰 복원 총력
“김건희 라인부터 정리”... 사적 인맥 공관장 1순위 교체
장관 임명 전 이례적 지시… 외교라인 전면 재정비 신호탄
- 박정연 재외기자
- 입력 2025.07.04 14:20
- 수정 2025.07.04 14:27
- 댓글 0
![이재명 정부가 외교라인을 전면 교체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사진은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6월24일 서울 종로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모습. [연합뉴스]](https://cdn.dongponews.net/news/photo/202507/53229_205633_2435.jpg)
"2주 내에 이임 준비하고 귀국하라"
이재명 정부가 출범과 동시에 과거 윤석열 정부가 임명한 주요 외교 공관장들을 대거 교체하며 외교 정책 대전환의 신호탄을 쐈다.
외교부는 지난 6월 27일, 미국·중국·일본·러시아·유엔 등 5강 대사를 포함한 주요국 주재 특임공관장 30여 명에게 "2주 이내 이임 준비를 마치고 귀국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번 지시는 장관급 예우를 받는 대사들을 포함해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단행돼, 외교가 안팎에서 “사실상 정권 색깔 지우기이자 대외 신뢰 회복을 위한 초강수”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외교 핵심 요직 전면교체… 윤 정부 인사 대거 퇴장
귀임 지시를 받은 인사에는 조현동 주미대사, 박철희 주일대사, 이도훈 주러시아대사, 황준국 주유엔대사 등이 포함됐다. 이외에도 윤여철 주영국대사, 문승현 주프랑스대사 등도 같은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재호 전 주중대사는 이미 연초에 귀국해 명단에서는 제외됐다.
외교부 관계자는 “정년이 임박했거나 정무형 특임공관장 전원이 교체 대상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사실상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특임 대사는 대부분 교체 수순을 밟게 된 것이다.
외교부 장관 후보자인 조현 전 1차관의 인사청문회 일정도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먼저 공관장 귀임 지시가 내려진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다. 이에 대해 외교부 이재웅 대변인은 “정권 교체 직후 재외공관장에 대한 재신임 절차는 관례"라고 설명했다.
대사관들 '비상 체제'… 이례적 속도에 인수인계도 '속전속결'
임무 종료 시한이 ‘2주’로 촉박하게 주어지면서 각국 대사관은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 주요국 주재 대사들은 귀임 전까지 주재국 정부 및 의회, 주요 인사들과 고별 인사를 해야 하는 등 일정이 빽빽한 상황이다. 특히 미국, 일본, 러시아, 유엔 등 복잡한 외교 네트워크를 관리해온 대사관들은 실무 부담이 만만치 않다.
문재인 정부 시절에도 정권 출범 직후 재외공관장 일괄 사표 제출 사례가 있었지만, 이번처럼 외교부 장관 인준 이전에 귀국 지시가 먼저 내려온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당시에도 교체 절차는 강경화 장관 임명 이후 본격화됐다.
이번 조치가 “비상계엄 사태로 흔들린 외교 신뢰를 조기에 복원하려는 이재명 정부의 의지의 표현”이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김건희 친분 사적 인맥 논란 외교공관장' 부터 1순위 교체
정권 교체 시 정무형 특임대사가 일괄 교체되는 것은 통상적 절차지만, 무엇보다 이번 조치에서는 김건희 여사와의 사적 친분으로 임명된 대사들이 1순위로 교체 대상에 올랐다는 점이 유독 눈에 띈다.
그동안 외교부 내부에서도 전문성이나 능력보다는 권력층의 개인적 친분에 따라 임명된 특임공관장들이 외교 라인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계속 이어져 왔고, 새 정부는 이들을 ‘가장 먼저 정리(?)해야 할 대상’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윤석열 정부 시절, 김 여사의 비선 논란과 연결된 일부 인사들이 낙하산 인사로 외교 요직에 기용됐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고, 이는 정권 말까지도 외교부 안팎에서 큰 논란거리였다. 이재명 정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그러한 외교 라인의 불신을 일소하고, 전문성과 국정 철학에 기반한 인사로 외교부를 전면 재편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외교 공백 최소화… 후임 인선 '속도전'
관심은 이제 후임 인선으로 향하고 있다. 특명전권대사 임명에는 주재국의 아그레망(동의) 절차가 필수이며, 통상 수 주가 소요된다. 그 사이 해당 대사관은 공사나 참사관이 ‘대사대리’로 업무를 이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각 공관에는 주요 협상 현황과 사업 내역을 정리해 본부에 보고하고, 인수인계를 조속히 마치라는 지침이 내려진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외교부는 현재 전 세계 171개 재외공관(대사관·총영사관·대표부 등)을 운영 중이다. 이 가운데 주요 외교 요충지에서의 인사 교체는 해당국과의 외교 기조 전환뿐만 아니라, 이재명 정부의 국정철학을 대외적으로 천명하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