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포함, 아시아신흥국 수출둔화” 우려 > 자유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 게시판

올해 “한국포함, 아시아신흥국 수출둔화” 우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5-02-04 15:47

본문

올해 “한국포함, 아시아신흥국 수출둔화” 우려


美 대중제재로 中수입수요 약화, ‘中우회 경로, 신흥국도 단속’
위안화 약세로 신흥국 수출 애로, “적절한 금리인하도 불가”

SNS 기사보내기
카카오톡 다른 공유 찾기 기사스크랩하기 인쇄
 
현대자동차 울산 선적부두 모습. 본문 내용과는 관련 없음. [사진=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 울산 선적부두 모습. 본문 내용과는 관련 없음. [사진=현대자동차]

최근 다수의 해외 투자은행들이 “아시아 신흥국들의 수출이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2025년도 국제교역 전망을 내놓아 주목된다. 여기서 ‘아시아 신흥국’은 한국도 포함한 개념이다. 국제금융센터는 이런 소식과 함께 “아시아 신흥국의 수출 증가 모멘텀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선행지표들이 수출 둔화를 시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르면 노무라 아시아 수출 선행지수(NELI)가 2024년 8월 103.7에서 2025년 2월 96.3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아시아 신흥국 수출 증가세 둔화를 시사한 것이다. 특히, HSBC 아시아 전기전자 수출 선행지수 역시 아시아 신흥국의 IT제품 수출 증가세가 본격적으로 둔화할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 원인에 대해 주요 해외 투자은행들은 ▲ 미국의 통상정책 ▲ 글로벌 IT경기 둔화 등을 꼽고 있다. 특히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강도 높은 보호무역 정책을 예고함에 따라 중국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신흥국 수출은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아시아 신흥국의 對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만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이런 對중국 무역정책은 중국경제의 성장에 타격을 주는 것은 물론, 이에 따른 수입수요 약화를 초래할 소지도 크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국제금융센터는 “대만, 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아시아 신흥국의 對중국 수출비중은 25%를 상회한다”고 짚었다.

만약 중국경제의 성장 위축으로 위안화가 약세로 이어질 경우가 문제다. 그로 인해 아시아 신흥국은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고, 글로벌 수출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이란 우려다.

물론 위안화 약세는 아시아 신흥국 통화의 동반 약세를 유발한 가능성도 크다. 그러나 각국 통화당국은 금융 안정성 등을 고려, 위안화 약세 만큼의 폭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란게 이들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더욱이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외에 제3국을 통한 우회수출마저 엄격하게 단속하며 허용하지 않을 가능성도 크다”는 전망도 따르고 있어 더욱 상황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2018년 미중 무역분쟁 이후 아시아 신흥국은 중국산 제품이 미국으로 우회 수출되는 주된 경로로 활용되면서 반사이익을 거둔 바 있다. 그 덕분에 아시아 신흥국의 對미국 수출 비중은 날로 증가했다.

그러나 그런 반사이익도 앞으론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정부가 무역적자 폭이 큰 아시아 신흥국에 대해서도 징벌적 무역 조치를 실행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아시아 신흥국들로선 우회 수출을 포함한 수출 전반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글로벌 반도체 가격 상승세가 약화되고, 부진한 IT수요의 회복조차 더딘 현실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상대적은 전기·전자 수출 비중이 높은 아시아 신흥국 수출에 이는 매우 부정적이다. 이미 최근 중국 반도체 제조기업들의 레거시 반도체 공급과잉으로 인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가격도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는 현실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2025년 1월말 기준으로 낸드플래시 현물가격은 2024년 5월 고점에 비해 약 40% 내외 하락했다.

물론 당분간은 AI 관련 반도체 수요가 강하게 유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레거시 제품 수요가 앞으로 둔화될 경우, 이에 더해 PC 등 IT 소비시장도 부진해지면서 결국 글로벌 반도체 경기 호황도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다.

또한 ‘AI 폰’ 등과 같이 AI 기능이 접목되면서 PC, 스마트폰 등 IT 제품의 교체 주기가 더 길어질 가능성도 크다. 그 때문에 “한국, 대만, 싱가포르, 태국 등 다수의 아시아 신흥국에서 IT제품 수출 사이클이 정점을 지나, 하향 주기에 접어들고 있을 가능성이 상당하다”는 것이다.

결국 이런 수출 둔화는 생산 저하로 이어지면서 성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소지가 크다. 본래 아시아 신흥국들의 수출은 팬데믹 이전을 넘어서는 회복력을 보이면서 GDP 성장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대중 제재로 인해 중국에서 과잉 생산된 제품이 아시아 신흥국으로 유입될 것이 확실시되면서, 이들 국가의 제조기업들의 경쟁도 격화할 가능성이 크다.

국제금융센터는 “특히 ‘미국 예외주의’를 바탕으로 한 글로벌 달러 강세 환경 속에서 아시아 신흥국의 수출과 경기 둔화는 신흥국 통화 약세를 더욱 자극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아시아 신흥국 통화에 대한 절하 압력이 강해질수록 통화당국은 경기 대응에 필요한 금리 인하에 나서는게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는 결국 경기 침체의 장기화를 유발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아시아한인회총연합회Address : seocho Hyundae Tower 803, 375, Gangnam-daero, Seocho-gu, Seoul, 06620, Korea
Phone : +82. 70. 8822- 0338, E-mail : achong.asi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