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트럼프정부 출범 앞두고 北美 수출 ‘비상체제’ 가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8회 작성일 25-01-13 10:47본문
KOTRA, 트럼프정부 출범 앞두고 北美 수출 ‘비상체제’ 가동
코트라 북미지역본부, 뉴욕서 워싱턴D.C.로 전격 이전
강경성 사장, 10일 美 실리콘밸리서 대책회의 주재
新정부 출범 前 정책·시장 분석과 기회요인 발굴
- 박철의 기자
- 입력 2025.01.12 14:21
- 수정 2025.01.12 14:44
- 댓글 0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코트라가 긴급 북미수출 비상체제를 가동키로 했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1월 10일(현지시간) 미국 산호세 실리콘밸리무역관에서 북미지역본부 및 10개 무역관장들과 긴급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를 주재하면서 “올해 북미지역본부를 뉴욕에서 워싱턴으로 이전하여 미국 통상·산업 정책 변화의 최전선을 지키는 파수꾼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즉 부정적 영향은 최소화하고 새로운 기회 요인은 최대한 활용, 정책 변화에 기초한 사업 전략을 재정립하겠다는 취지다.
코트라는 이를 위해 미 정부 주요 인사 교류 활성화 및 현지 모니터링 강화, 정부 및 기업 대상 신속한 정보 전파, 미국 중심 공급망 구축, 미중 디커플링 정책에 따른 기회 활용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강경성 사장은 무역관장들에게 "미국의 핵심 경제·통상정책이 신정부 출범 초기에 신속하게 추진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현지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우리 기업을 위한 신속한 정보 전파 및 신규 사업 수요를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세계 최대 경제 규모와 수입 시장, 첨단 기술을 보유한 중요한 교역 대상국이다. 우리나라와는 경제 안보 측면에서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대미 수출은 7년 연속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4년 기준 대미 수출액은 1,287억달러를 기록해 전체 수출의 18.7%를 차지했다. 이는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 1위인 중국(19.5%)과의 비중 격차를 더욱 좁힌 결과이다. 이날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 주요 내용을 정리한다.
美 신정부 통상 정책 변화에 따른 기회 전파
美 신정부는 ‘모든 미국인을 위한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경제 실현’이라는 목표를 어느 때보다도 신속 과감히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한 통상정책의 골자는 중국 제재 강화, 무역수지 개선, 미국 내 일자리 확대로 요약된다. 임기 2년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행정명령을 통한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가 예상되며, 정책이 시장을 선도하는 추세가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 시기에 우리 기업이 미국 시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통상정책 변화에 기초한 ‘탑다운 방식’의 사업 전략이 필요하다. KOTRA는 이를 위해 대미 통상 모니터링 체제 운영을 강화하고, 신정부 출범 직후 통상포럼을 개최하여 한-미간의 전략적 산업 협력분야의 최신 정보를 집중적으로 전파한다는 방침이다.

북미 중심의 제조업 육성 정책 활용 및 공급망 진입 확대
특히 미국 신정부는 관세와 리쇼어링 정책, 법인세 인하 등 ‘바이 아메리칸(Buy American)’ 정책을 통한 제조업 육성에 초점을 둘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조선(에너지 운반선, MRO 서비스 등), 바이오(바이오시밀러, 제네릭 등) 등 우리 기업이 강점을 가진 제조업 분야에서 협력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되며, 이 밖에도 자동차 부품, 변압기·송전선과 같은 전력 기자재 분야의 공급망 진입 전망도 밝다.
예를 들어 지난해 디트로이트무역관은 GM, 포드 등 완성차 기업의 중국산 부품 대체 수요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적합한 우리 기업을 매칭, 성약에 이르는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하여 수주 성과를 이끌었다. KOTRA는 올해 우리 기업의 북미 밸류체인 진입을 지원하기 위해 △‘글로벌기업 수요발굴-파트너링-인큐베이팅’ 등 단계별 지원 강화 △반도체·AI·로봇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상호보완적 파트너십 구축 △투자진출 관련 최신 정보 제공 및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수출의 유능한 길잡이 역할을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북미 에너지 시장 진출 강화 전략
美 신정부의 에너지 정책은 미국의 에너지 자립과 제조업 부흥을 위해 화석연료로 회귀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향후 미국 에너지 시장은 ▲제조업 강화를 위한 화석연료 규제 완화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재생에너지 분야 수입관세 강화 ▲AI 데이터센터, 제조업 자동화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한 전력망 확대 지속 등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OTRA는 우리 기업이 에너지 분야의 핵심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장기적 관점에서 바이어 신뢰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한전 등 에너지 유관기관과 협업을 통해 진출 유망기업을 발굴하고, 작년 12월 산업부 및 전력그룹사가 결성한「K-그리드 얼라이언스」를 활용해 ‘팀코리아’ 브랜드로 전력산업의 대미 수출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미국의 정책과 시장 수요에 따라 자동차 부품, 전력 기자재, 조선, 에너지 인프라, 바이오 등의 분야에서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혁신적인 제조 기술을 지닌 한국 기업들이 미국 신정부에서 핵심 파트너 역할을 할 수 있도록 KOTRA는 혼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