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청, 국내 동포도 본격 챙긴다(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회 작성일 24-12-09 09:46본문
재외동포청, 국내 동포도 본격 챙긴다(상)
국내 동포 정책에 대한 학술포럼 개최
이상덕 청장, ‘인구감소’‧‘지역소멸’‧‘인력난’
해소 위해 국내거주 동포에서 해답 찾아야
재외동포는 대한민국의 자산, ‘컨센서스’필요
- 박철의 기자
- 입력 2024.12.07 18:46
- 수정 2024.12.07 20:49
- 댓글 0

지난해 기준 재외동포는 전 세계 181개국에 약 708만 명이다. 이중 국내에 체류하는 재외동포의 수는 꾸준히 늘어 지난 10월 말 기준 86만 3677명에 달한다. 법무부에 따르면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269만2359명인데 이 중 32.1%가 재외동포에 해당하는 셈이다.
재외동포청(청장 이상덕)이 12월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루나미엘레 컨벤션홀에서 ‘2024 국내 동포 정책에 대한 정부·학계·시민단체와의 대화’를 주제로 한 학술포럼을 개최했다. 본지는 이날 주요 인사들의 발제 내용을 2회에 걸쳐 소개한다.
이날 포럼은 ▲제1세션 ‘국내 동포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제2세션 ‘국내 동포에 대한 내국인 인식확산 방안’ ▲제3세션 ‘국내 동포 정착을 위한 정책 대화’ 순으로 진행되며 총 26명이 발제자와 패널, 연사로 나섰다.
이날 이상덕 청장은 인사말을 통해 “과거에는 주로 해외거주 동포를 대상으로 재외동포정책이 수립됐으나 지난해 재외동포청이 개청되면서 국내동포도 동포정책의 중요한 대상이 된다”며 주요 동포정책의 기조를 설명했다.
그는 “과거에는 재외동포 정책에서 국내 동포들은 소외되어 온 만큼, 국내 동포에 대한 포용정책을 통해 대한민국의 총체적인 역량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이 청장은 3가지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첫째, 한국은 지금 인구감소, 지역소멸, 인력난 등 총체적 위기에 놓여 있다. 건강한 국내 동포정책을 전개했을 때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우수한 동포인재 유입을 촉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65세로 제한된 복수국적 허용연령에 대한 하향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는 각 부처의 이해와 국내 여론 등을 감안할 때 쉬운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재외동포가 대한민국의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각계의 컨센서스가 필요하다.
둘째, 성공적인 국내 동포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시민단체들이 서로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동포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동포청 최초로 예산까지 확보했다.
셋째, 국내 동포정책에 대한 정부, 학계, 시민단체와의 대화를 정례화 하겠다. 이번 행사를 계기로 내년부터 시작해 현장의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현재 국내 정착 동포들의 삶이 그렇게 녹록치 않다는 사실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이미 국내에 정착한 사할린 및 고려인 동포들은 꿈에도 그리던 조국으로 돌아왔지만 오히려 더 큰 마음의 상처를 받는 분들이 적지 않다. 재외동포청이 재외동포들의 울타리가 되도록 노력하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